지난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 콘솔 화면을 캡쳐하는 방법을 알아보았고, 이번 포스트에서는 XBMC 화면을 캡쳐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XBMC 스크린샷 설정하기

  XBMC가 스크린샷 기능을 제공하고있어서 XBMC화면을 캡쳐하는 방법은 매우 쉽다. 스크린샷이 저장되는 디렉토리를 설정하기 위해서 시스템-설정-디버깅-스크린샷 폴더로 들어가서 원하는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끝! 라즈베리파이에 저장할 수 있지만 윈도우 PC에 바로 저장할 수 있는점도 마음에 든다.

 

 

 

  2. 스크린샷 찍기

    CTRL+S 를 누르면 스크린샷이 찍어지고 1에서 설정한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비디오도 스크린샷이 될거라 생각했는데 안타깝게도 아래처럼 검게 나온다. 혹시나 다른 방법이 있는지 찾아보고 있다면 추후에 추가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처음 라즈베리파이 관련해서 포스팅을 시작할 때 화면 캡쳐 하는 것을 찾아보다가 찾아지지 않아서 그냥 사진기로 화면을 찍고 찍은 화면을 자르고 보정해서 올리는 식으로 작업을 해왔다. 하지만 아무래도 사진 선명도도 떨어지고 매번 사진 찍고 수정하는 일도 귀찮았다. 방법이 없진 않을텐데 하며 다시 한번 구글에서 영문으로 검색을 하니 쉽게 찾을 수 있어서 조금 허탈한 마음을 가지고 콘솔화면을 캡쳐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기로 한다.

 

1. fbgrab 설치

  fbgrab은 FB(Frame Buffer)에 윤창중씨로 인해 전국민이 알게된 국민 단어 'grab'을 붙여서 프레임 버퍼에 있는 내용을 움켜 쥔다는 뜻의 콘솔 스크린샷 프로그램이다.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sudo apt-get install fbgrab'만 입력하면 끝!

 

2. 기본 사용법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은 'sudo fbgrab [파일이름]' 이다. 이때 파일이름은 bmp, jpg, png등의 그림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마지막 줄에보면 화면 캡쳐를 위해서 입력한 'sudo fbgrab screen1.jpg'도 포함된 것이 보인다. 뭐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고, 보기 싫으면 잘라버리면 되니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이 있다.

 

3. 원격 터미널에서 캡쳐하기

  SSH를 통해서 원격으로 접속한 경우 fbgrab을 하면 터미널의 화면이 캡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라즈베리파이가 출력하는 화면이 캡쳐된다. 그러므로 당연히 캡쳐를 위해서 입력한 명령어 라인이 포함되지 않는다.

 

 

 

4. 콘솔 스위칭 이용하기

  원격 접속을 하지 않아도 위와 같이 캡쳐를 위해서 입력한 명령어 라인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콘솔 스위칭을 이용하는 것이다. 라즈비안은 6개의 가상 텍스트 콘솔과 하나의 그래픽 콘솔을 가지고 있고 Alt+오른쪽/왼쪽 방향키로 가상 콘솔을 선택 할 수 있는데 이를 콘솔 스위칭이라고 한다. 따라서 독립된 작업을 다른 콘솔에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1번 콘솔에서 어떤 작업을 하고 있고 2번 콘솔에서 1번 콘솔을 화면 캡쳐 할 수 있는 것이다.

 

  2번 콘솔으로 스위칭을 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하는 화면이 나온다. 로그인을 해서 2번 콘솔의 화면을 캡쳐하기위해 'sudo fbgrab -c 1 [filename]'을 입력한다. 여기서 -c 1이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것이 2번 콘솔에서 1번 콘솔 화면을 캡쳐하는 옵션이다.

 

 

 

 

 

5. 스크립트 이용해서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하기

  앞에서 설명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편하게 화면을 캡쳐 할 수 있지만 매번 이름을 다르게 지정해주는것이 조금 귀찮다. 타임스탬프로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없어서 Bash 쉘 스크립트로 간단하게 짜봤다. DIR을 스크린샷을 저장하기 원하는 디렉토리로 변경하고 써야한다. screenshot으로 스크립트 이름을 저장했을 경우 './screenshot -c 2 -s 1 -i' 이런식으로 fbgrab의 옵션 형식을 따라서 사용하면 된다. 혹시나 몰라서 덧붙이자면 쉘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스크립트를 저장한 파일의 권한을 777로 변경해줘야 한다. 'sudo chmod 777 filename'을 입력하면 파일 권한이 777로 변경된다.

#!/bin/bash DATE=$(date +"%Y%m%d%H%M%S") DIR=/home/pi/Screenshots #sudo fbgrab /home/pi/Screenshots/$DATE.png OPT= while getopts ":c:C:s:i" opt; do case $opt in c) OPT="$OPT -c $OPTARG" ;; C) OPT="$OPT -C $OPTARG" ;; s) OPT="$OPT -s $OPTARG" ;; i) OPT="$OPT -i" ;; \?) echo "Invalid option: -$OPTARG" >&2 exit 1 ;; :) echo "Option -$OPTARG requires an argument." >&2 exit 1 ;; esac done echo "fbgrab $OPT $DIR/$DATE.png" sudo fbgrab $OPT $DIR/$DATE.png

  다음 포스트에서는 XBMC의 화면을 캡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조 : Bill Agee's blog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지난 포스트까지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부터 XBMC 리모컨 사용하기까지 라즈베리파이를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센터로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부분들을 알아보았다. 하지만 XBMC를 라즈베리파이의 주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팅시에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동실행되지 않을때 가장 문제점이 키보드가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부팅시 XBMC가 자동실행 되면 마우스만 있거나, XBMC 리모컨을 사용하면 마우스도 필요 없이 XBMC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되고 다른 작업을 위해서 필요할 때만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라즈비안에 자동로그인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지난 포스트 [라즈베리파이 기초] (5) 라즈비안 자동 로그인 를 참조하면 된다.

 

  XBMC를 자동 실행 시키기 위해서는 '/etc/default/xbmc' 파일을 변경해야 한다. ENABLED=1로 변경하면 부팅할 때 XBMC를 실행시킨다.

 

  USER를 알맞게 변경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XBMC가 시작되지 않는다. 아래에 빨간 줄이 그어진 부분을 보면 'xbmc'라는 사용자가 없기 때문에 XBMC를 실행하려 하였지만 실패한 것이다.

 

  라즈비안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USER를 라즈비안 기본 사용자인 pi로 설정하는 것이다. (USER=pi) 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pi가 아닌 다른 사용자로 XBMC를 실행시키려 한다면 그 사용자는 적절한 그룹의 멤버여야 한다. 새로운 사용자 xbmc를 추가하고 적절한 그룹의 멤버로 추가하는 것은 아래 프로세스를 참조 하면 된다.

  

sudo adduser xbmc


sudo adduser xbmc adm

sudo adduser xbmc audio
sudo adduser xbmc video
sudo adduser xbmc input
sudo adduser xbmc audio
sudo adduser xbmc dialout
sudo adduser xbmc plugdev
sudo adduser xbmc tty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해서 사용해본 결과 아주 만족스럽다. 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이 바로 리모컨이다. DIVX 플레이어를 샀더라면 리모컨으로 쉽게 조정했을텐데 그러지 못하고 무선 마우스를 달아서 사용하기는 하는데 아무래도 조금 불편한점이 없지 않았다. 필자만 그렇게 느낀 것이 아닌가 보다. 이미 여러종류의 XBMC용 리모컨이 나와있었다. MCE, RF, 게임패드, CEC,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술로 개발된 리모컨들이 있었는데 가장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리모컨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스마트폰을 XBMC 리모컨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XBMC 설정하기

 

① 설정메뉴를 클릭해서 서비스 탭을 클릭한다.

 

② 서비스-설정에서 웹서버 탭을 눌러서 'HTTP를 통해 XBMC 제어 허용'을 체크한다. 포트, 사용자명, 비밀번호는 원하면 바꿔도 된다.

 

③ 서비스-설정에서 리모트 컨트롤 탭을 눌러서 'XBMC를 제어하기 위해 다른 시스템의 프로그램 허용'을 체크한다.

 

2. XBMC Remote 앱 설치&설정하기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 모두 XBMC 리모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필자의 폰이 안드로이드인 관계로 안드로이드 폰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아이폰에서의 설정도 크게 다를 바 없을거라 생각된다. XBMC 리모컨 앱은 구글 플레이에 여러 종류가 올라와있지만, TEAM-XBMC에서 만든 공식 리모컨 앱을 기준으로 알아보자.

 

① 구글 플레이에서 'Official XBMC Remote' 앱을 찾아서 설치한다.

 

② 처음에 앱을 시작하면 '호스트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메시지가 뜨면 세팅 버튼을 누른다.

 

③ '정의된 호스트가 없다'는 메시지가 뜨면 창 닫기를 누른다.

 

④ 안드로이드 폰의 메뉴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호스트 추가' 버튼을 누른다.

 

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빈칸을 채워야 한다. IP 주소는 이전 포스트 [라즈베리파이 기초] (3)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에서도 설명 했다. XBMC에서 확인 하려면 시스템정보에 들어가서 네트워크 탭을 클릭하면 IP를 확인 할 수 있다. 포트, 사용자이름, 비밀번호는 1-②에서 설정한 값으로 넣으면 된다.

XBMC에서 IP 확인하기.

 

 

 3. XBMC 리모컨 사용하기 

 

① XBMC 리모컨이 라즈비안 XBMC에 접속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XBMC 공식 리모컨

 

② 위의 화면에서 Remote Control을 클릭하면 아래의 리모컨 화면이 표시된다. 일반 리모컨이랑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라 사용하는데 어렵지 않다.

 

③ 3-①의 화면에서 Movies 아이템을 클릭하면 XBMC의 영화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어있는 영화들이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만약 XBMC에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어 있지 않다면 그 밑의 화면과 같이 'NullPointerException' 메시지가 뜬다.

 

 

④ 재생하고자 하는 영화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에서와 같이 버튼을 눌러서 간편하게 영화를 재생할 수 있다.

 

⑤ 영화가 재생되는 중에는 'Now Playing' 아이템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재생, 일시정지, 정지, 스킵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 XBMC 리모컨을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았다. 이 외에도 폰에 오는 문자 메시지와 전화를 XBMC 화면에 표시하여 알려주는 기능 등 유용한 기능이 더 많이 있으니 하나씩 사용하면서 익히면 될것 같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XBMC가 자동으로 실행 되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출처 : XBMC 위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지난 포스트에서 파일을 라즈베리파이로 전송해서 재생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네트워크에 공유된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로 필자는 네트워크에 공유된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면 조금의 끊김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했었는데 SD카드에서 재생하는 것과 차이를 못 느낄 정도였다. 물론 네트워크 상황이 좋지 않을 경우 끊김이 생길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1. 디렉토리 공유하기

 

① 공유하려는 디렉토리를 오른쪽 클릭해서 속성을 누르고 공유 탭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공유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창이 뜬다. 

 

②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모든사용자를 선택한 후 추가를 클릭한 후, 공유버튼을 누른다.

 

 

③ 디렉토리가 공유되었는지 확인 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폴더에 가면 아래와 비슷하게 폴더가 공유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 XBMC에서 동영상 파일 있는 네트웤크 디렉토리 설정하기

 

① 메인 메뉴에서 비디오 밑에 파일을 클릭한다.

 

② 비디오 추가를 클릭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탐색버튼을 클릭한다.

 

스크롤을 내려서 윈도우즈 네트워크 (SMB)를 클릭한다.

 

⑤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를 찾는다.

 

⑥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이 경로 기억을 클릭한다. 다음에 '확인'버튼을 누르면 공유된 디렉토리를 볼 수 있다.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이 있는 디렉토리를 찾아가서 확인을 누른다. ※ 이때 재생하고자 하는 비디오 파일을 찾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동영상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찾았는데 파일이 안보인다고 당황하지 말자. 원래 디렉토리만 보인다.

 

미디어 소스의 이름은 기본으로 디렉토리명이 선택된다. 변경하고 싶다면 클릭해서 변경하면 된다. 그리고 확인을 누른다.

 

⑨ 이번에는 콘텐츠 설정으로 영화 라이브러리를 추가해보자. 이 기능은 데이터 베이스에서 동영상의 정보를 가져와서 정리해주는 것이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삼각형 위/아래버튼을 클릭해서 영화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해보자.

 

 

  위의 모든 과정을 마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영화 메뉴가 추가된다. 이 외에도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스마트폰에서 XBMC 리모컨을 이용하여 더 쉽게 동영상을 재생 시킬 수 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XBMC 리모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앞 포스트들을 통해서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고 한글 설정하는 것 까지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트 부터는 비디오 파일들을 재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비디오 파일 재생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SD카드 내에 있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하드디스크에서 가져와서 재생하는 것이다. 두가지 방법이 크게 차이가 없으나 두번으로 나눠서 살펴보도록 하자.

 

1. SD카드에 파일 전송하기

  SSH Secure Shell Client 프로그램의 장점은 SSH와 함께 파일 전송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아래 사진에서 빨간펜으로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파일을 전송 할 수 있는 새 창이 뜬다. 왼쪽 부분이 PC의 파일을 보여주고 오른쪽이 원격접속된 라즈베리파이의 파일을 보여준다.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왼쪽 창에서 찾고, 보내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오른쪽 창에서 찾아서 왼쪽의 파일을 드래그해서 오른쪽에 놓으면 파일전송이 시작된다.

 

 

2. XBMC에서 동영상 파일 있는 디렉토리 설정하기

 

① 메인 메뉴에서 비디오 밑에 파일을 클릭한다.

 

② 비디오 추가를 클릭한다.

 

③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탐색버튼을 클릭한다.

 

④ 스크롤을 내려서 루트 파일시스템이나 홈 폴더를 클릭한다.

 

⑤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이 있는 디렉토리를 찾아가서 확인을 누른다. ※ 이때 재생하고자 하는 비디오 파일을 찾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동영상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찾았는데 파일이 안보인다고 당황하지 말자. 원래 디렉토리만 보인다.

 

 

⑥ 미디어 소스의 이름은 기본으로 디렉토리명이 선택된다. 변경하고 싶다면 클릭해서 변경하면 된다. 그리고 확인을 누른다.

 

⑦ 콘텐츠 설정은 중요하고 편리한 기능이지만 다음 포스트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아무 변경하지 말고 확인을 누르면 된다.

 

  위의 모든 과정을 마치면 아래와 같이 Movie Clips (Raspbian)이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클릭해서 들어가면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이 표시되고 파일을 클릭하면 동영상이 재생된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지난 포스트에서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는 것을 알아 보았다. 좋아하는 미국 TV쇼 중 하나인 빅뱅이론을 플레이 했다. 동영상은 끊기지 않고 재생되었지만 아래 사진과 같이 자막이 클링온어 같이 알아 볼 수 없는 문자들로 표시 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아래의 순서대로 하나씩 따라하면 쉽게 한국어로 설정 할 수 있다.

 

① System 메뉴에 Settings를 클릭한다.  

 

② Appearance를 클릭한다.

 

③ Skin탭에서 Fonts를 삼각형 위/아래 버튼을 눌러 Arial based로 바꾼다.

 

④ International 탭에서 Language를 삼각형 위아래 버튼을 눌러서 Korean으로 바꾼다. 바꾼 뒤 조금 시간이 흐르면 언어가 한국어로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만약 아래와 같이 글자가 하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면 3번 과정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므로 언어를 다시 영어로 바꾸고 3번 과정부터 다시 해야한다.

 

  위의 과정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모든 메뉴가 한글로 바뀌고 자막도 깨지지 않고 잘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비디오 플레이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한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이번에 라즈베리파이를 구입한 가장 기본적인 목적이에 DIVX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센터를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는 것을 알아본다.

 

  라즈베리파이에 XBMC를 설치하는 것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OPENELEC나 RASPBMC와 같이 XBMC 전용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라즈비안과 같은 범용 운영체제에 XBMC를 설치 하는 것이다. 전용 운영체제를 쓰는데 장점은 XBMC만 돌리기 때문에 XBMC를 최적의 환경에서 실행 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그외의 작업을 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반대로 범용 운영체제를 쓰는데 장점은 라즈베리파이를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아무래도 조금 느릴 수 있다는 점이다. 라즈베리파이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하면 저가형 DIVX 플레이어를 사는것이 가격면에서나 성능면에서 더 나은 선택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범용 운영체제를 설치해서 XBMC를 실행시켜보고 성능이 많이 떨어지면 전용 운영체제를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해서 사용해본 결과는 대만족. 성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말끔히 씻어 줄 정도로 아주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이만해서 잡설은 집어치우고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sudo nano /etc/apt/sources.list.d/mene.list'

  'deb http://archive.mene.za.net/raspbian wheezy contrib'를 추가.
'sudo apt-key adv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recv-key 5243CDED'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xbmc'
'sudo nano /etc/udev/rules.d/99-input.rules'
   SUBSYSTEM=="input", GROUP="input", MODE="0660"
   KERNEL=="tty[0-9]*", GROUP="tty", MODE="0660"를 추가.

 

  위의 순서대로 모든 과정을 마치면 XBMC를 실행 시킬 수 있다. XBMC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프롬프트에 'xbmc-standalone'을 입력하면 된다. 이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설치가 성공적으로 된 것이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XBMC에서 한글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XBMC 세팅을 시작하기 전에 부팅시 XBMC 자동 실행, 부팅시 XBMC sudo로 자동 실행 두개를 먼저 읽고 설정한 후에 세팅 시작하기를 추천한다.

 

 

참조 : Michael Gorven's Blog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넣고 부팅이 되기를 기다리면 로그인 하라는 화면이 아래 사진과 같이 나타난다. 보안상의 이유로 비밀번호를 묻는 것은 당연하지만 사용 목적이 다음 포스트에서 알아보게될 XBMC의 사용에 있다면 여간 성가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을 자동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한다.

 

 

  터미널에서 'sudo nano /etc/inittab' 라고 입력한다. /etc/inittab 파일은 부팅시 초기화 과정을 제어하는 파일이다. 밑으로 내려서 '1:2345:respawn:/sbin/getty --noclear 38400 tty1' 부분을 찾아서 앞에 #을 붙여서 주석 처리 하고, '1:2345:respawn:/bin/login -f pi tty1 </dev/tty1 >/dev/tty1 2>&1'를 그 밑에 추가한뒤 저장하면 끝! 이제 재부팅하면 로그인 과정을 건너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포스트부터는 XBMC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출처 : http://elinux.org/RPi_Debian_Auto_Login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지난 포스트에서 SSH를 통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SSH를 통해서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나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는데는 어려움이 없을 거라 본다. 하지만 알다시피 라즈베리파이에서는 Graphical Interface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도 많이 실행된다. 이런 프로그램들도 SSH를 통해서 실행 시킬수 있을까? 라즈비안 기본 웹브라우저인 midori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이번 포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1. SSH 통해서 무작정 midori 실행 시키기

  그냥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고 프롬프트에 midori를 입력해서 실행시켜보았다. 결과는 실패!! 에러 메시지가 떴다.

 

2. Xming 설치 및 실행

  SSH를 통해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X11 터널링이라는 기술이 필요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는 Xming 이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서 그래피컬하게 표시해줘야 할 정보들을 X11 터널을 통해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가져오고 그걸 Xming이 받아서 화면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여기]에서 받을 수 있다. 설치 후 실행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Xming 아이콘이 시스템 트레이에 표시된다.

 

 

3. 프로필 수정 (X11 Tunneling)

  Xming만 실행되고 있다고 해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없다. 지난 포스트에서 프로필을 생성했었는데 그 프로필을 수정해야한다. 지난 포스트에서 했던것 처럼 프로필 수정하기에 들어가서 원하는 프로필을 왼쪽 창에서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프로필 수정 창이 뜨면 Tunneling 탭을 선택해서 Tunnel X11 connections의 체크박스를 설정한다. 프로필 수정 후 재접속을 하면 X11 터널링을 통해서 GUI 프로그램들을 실행 시킬 수 있다.

 

 

4. midori 실행

  1번에서 midori를 실행 시켰던 방법대로 midori를 실행 시킨다. 위의 과정을 무사히 다 마쳤다면 아래와 같이 midori의 실행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5. Graphical Desktop(LXDE) 실행하기

  그렇다면 LXDE도 실행 할 수 있을까? 그렇다. 하지만 라즈베리파이에서 LXDE를 실행하는 명령어인 'startx'를 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 메시지가 뜬다.

 

 

  LXDE를 SSH를 통해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lxsession'이라고 입력해야 한다. 그러면 아래 처럼 LXDE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포스트에는 라즈비안에 자동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라즈베리파이에는 기본적으로 SSH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즉, 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SSH가 무엇인가 잘 모르는 분을 위해 한마디로 설명하면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해서 커맨드 라인 명령을 보내서 작업하는걸 도와주는 프로토콜이다. 즉, Telnet과 같은 기능을 보안성을 높여서 하는 프로토콜이라고 이해하면 될거 같다.

 

1. IP주소 알기

  SSH를 통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접속하는 컴퓨터가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네트워크에 묶여 있던지 라즈베리파이에 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알아야 접속할 수 있다. 라즈비안에서 (리눅스 베이스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IP 주소를 알기 위해서는 'ifconfig'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표시되는데 밑줄 그은 부분이 바로 IP 주소다.

 

 

2. 정적 IP 설정

  이 부분은 네트워크를 전혀 모르는 사용자라면 건너뛰기를 추천한다. 라즈비안 기본설정으로 IP주소 설정은 DHCP를 통해서 하게 되었다. DHCP는 동적으로 IP를 할당해주는 방식으로 다음번에 접속 할 때는 IP가 변경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구성이 많이 변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같은 IP로 할당이 계속 된다. 만약 IP가 변경되는 것이 싫은 경우에는 정적 IP를 받으면 되는데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프롬프트에서 'sudo nano /etc/network/interfaces'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그런 후 'nano' 에디터에서 'iface eth0 inet dhcp'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아래처럼 앞에 #을 붙여서 주석처리 하고 아래와 같이 address, netmask, gateway, network, broadcast를 바꾸면 된다. 하지만 아무 값으로나 바꾸면 안되고 네트워크에 맞게 설정해야 하는데 무슨 값을 넣어야할지 모르겠다면 그냥 DHCP로 IP 할당받아 사용하기를 권한다. 잘 모르겠지만 꼭 정적 IP를 할당 받고 싶다 하는 사람을 위해 작은 팁을 주자면, 앞에 ifconfig로 알아낸 정보를 이용하라는 것이다. 즉, inet-addr 값을 address의 값으로, Bcast의 값을 broadcast의 값으로,  Mask 값은 netmask 값으로 쓰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gateway는 address의 마지막 부분을 1로 변경하고 network는 address의 마지막 부분을 0으로 설정 해주면 왠만하면 될것이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네트워크 개념이 없는 사람은 하지 않는 것이 낫다. ※네트워크 설정은 재부팅 할때 변경된다는 사실 또한 참고.

 

 

3. SSH 클라이언트 설치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아주 다양하다. Putty와 OpenSSH도 널리 쓰이는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필자는 SSH Secure Shell을 더 선호한다. SSH Secure Shell은 [여기]서 다운 받을 수 있다.

 

4. SSH Secure Shell로 접속하기

  SSH Secure Shell을 성공적으로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 된다. Profiles 아이콘을 누르고 Add Profiles 버튼누르면 Add Profile 창이 뜨고,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 뒤 엔터를 누르면 프로필이 생성된다.

 

 

 

  다시 Profiles 아이콘을 클릭한 후 Edit Profiles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프로필을 수정 할 수 있는 창이 나온다. 전에 생성한 프로필을 왼쪽 창에서 찾아서 클릭 한 후 Host name에 1번에서 알아낸 IP 주소를 적고, User name은 pi로 설정한 후, OK버튼을 누르면 프로필이 수정된다.

 

 

5. SSH Secure Shell로 라즈베리파이 접속하기

  위의 과정을 모두 마쳤다면 Profiles 아이콘을 누르면 좀전에 생성한 프로필 버튼이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 그 버튼을 클릭하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이 되면서 비밀번호를 넣으라는 창이 뜬다.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로그인 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끝! 

 

 

 

  다음 포스트에서는 SSH를 통해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컴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윈도우즈, 맥OS, 안드로이드, 리눅스 등이 잘 알려진 운영체제 이다. 라즈베리파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라즈베리파이용으로 배포되고 있는 운영체제로 라즈비안, 피도라, OPENELEC, RASPBMC, RISC OS 등이 있다. OPENELEC와 RASPBMC는 라즈베리파이 XBMC 전용 운영체제이다. 미디어 센터로만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 두가지 운영체제 중에 골라서 설치하는 것이 낫다. 하지만 그 외의 용도로도 사용하려면 라즈비안이나 피도라를 선택해야한다. 필자는 라즈비안을 설치하기로 했다.

 

1. SD카드에 라즈비안 이미지 굽기

※이 글에서는 윈도우즈에서 라즈베리파이 이미지를 SD카드에 굽는 것을 설명하지만 맥의 경우는 [여기]를 참조하여 굽기만 하면 아래의 모든 과정은 동일하다.

  라즈베리파이 공식 사이트의 다운로드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뜨는데 여기서 Download Zip을 눌러서 라즈비안 이미지를 다운 받으면 된다.

 

 

  Win32 Disk Imager라는 프로그램을 [여기]에서 다운 받아서 설치한다.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뜨고 Image File에 위에서 다운받은 라즈비안 이미지를 선택하고 Device에 굽고자 하는 SD카드의 드라이브를 선택한다. 그 후, Write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뜨면 확인을 누르고 완성되기를 기다린다.

 

 

 

 

2. 기본 설정 하기

  1의 과정을 무사히 마쳤다면 구워진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장착하고 전원을 켜서 라즈베리파이를 시작한다. 혹시나 해서 말이지만 라즈베리파이에는 전원버튼이 없다. 전원 플러그를 꼽는 순간 부팅이 시작된다. 모니터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1단계는 성공한 것이다.

 

 

  처음으로 부팅을 하게 되면 라즈베리파이의 기본 설정을 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 된다. 여기서 1,2,3번만 기본적으로 필요하므로 세가지만 설명 하도록 한다. 후에 세팅을 바꿔야 할 경우가 생기면 라즈비안의 쉘(윈도우의 커맨드라인 같은것) 에서 'sudo raspi-config'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2-1. Expand Filesystem

  이것은 SD카드의 모든 공간을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아래 두 사진을 비교하면 위의 것은 확장하기 전이고 아래의 것은 확장한 후이다. 하는 것은 매우 쉽다. 1번에 커서를 위치 시키고 엔터만 누르면 끝!

※확장 후에 5배 이상 넓은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것은 SD카드의 용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변경 사항은 재부팅 후에 확인 할 수 있다는 점도 참고.

 

 

2-2 Change User Password

  사용자 비밀번호를 바꾸는 부분인데 바꾸지 않아도 되지만 바꾸는 것이 보안상 더 나은 선택일 것이다. 처음 사용자 아이디는 'pi'이고 비밀번호는 'raspberry'이다. 2번에 커서를 놓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표시되고 새 비밀번호를 두번 입력하면 끝!

 

 

2-3. Enable Boot to Desktop/Scratch

  부팅 옵션을 선택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3번에 커서를 놓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세가지 옵션중에 선택해서 엔터를 누르면 끝! 1번은 Text Console 즉, DOS와 같은 환경으로 부팅이 된다. 2번은 Graphical Desktop, 즉 윈도우즈와 같은 환경으로 부팅이 된다. 마지막으로 3번 Scratch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쉽게 프로그래밍을 가르쳐 주는 프로그램 같은데 관심 있다면 해보시길.

※사용 목적에 따라 1,2,3번 중에 아무거나 선택해도 되지만 필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XBMC이므로 1번 Text Console을 선택하였다.

 

 

  오버 클럭 등 다른 옵션들도 있지만 기본 세팅에는 크게 상관 없으므로 패스. 이제 기본 세팅이 다 되었으면 Graphical Desktop에 들어가보도록 하자. raspi-config 창에서 오른쪽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Finish에 커서가 가고, 그때 엔터를 누르던지, ESC키를 두번 누르면 창이 종료 되고 프롬프트 창이 나온다. 거기서 'startx'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Graphical Desktop이 표시된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SSH를 통한 라즈베리파이 접속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카드 크기 밖에 안되는 컴퓨터, 35달러 컴퓨터가 있다. 바로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라고 불리는 녀석이다. 라즈베리파이는 영국의 라즈베리파이 재단이 학교에서 기초 컴퓨터 과학 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만든 싱글 보드 컴퓨터이다. 35달러 짜리라고 무시해서는 안된다. 컴퓨터에서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일들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를 가지고 있다.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이 조그마한 컴퓨터를 가지고 로봇도 만들고, LED 전광판도 만들고, 동영상 플레이어로 쓰는 등 그 쓰임새가 아주 다양하다. 필자도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실험 프로젝트로 컴퓨터 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집 TV에 노트북을 연결해서 영화나 드라마 같은걸 보려고 하니 연결할 때 마다 노트북과 전원을 들고 거실로 나와서 설치하고 다시 들고 들어가고 하는게 귀찮았다. divx를 하나 살까 고민하던 중 차라리 라즈베리파이를 사서 동영상 플레이도 하고 다른 재미난 프로젝트가 있으면 해보자 하는 마음으로 라즈베리파이를 사기로 했다.

 

  앞에서 35달러 짜리 컴퓨터라고 소개했지만 실제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든다. 한국에서 사려고 하면 조금 더 비싼데 한 인터넷 사이트를 보니 B모델의 경우 4만 9천원에 부가가치세와 배송비를 포함해서 5만 6천원 정도에 살 수 있다. 이거는 위 사진 왼쪽에 보이는 보드 하나 가격이다. 기본적으로 필요한게 전원이랑 SD카드 인데 전원은 안드로이드 폰 충전기랑 같은 마이크로 5핀 충전기를 사용하면 된다. SD카드는 라즈베리파이의 하드디스크 역할을 하는 것으로 SanDisk의16기가 Class 10 모델을 샀다. 집에 남는 SD 카드가 있으면 그걸 활용해도 되는데 최소 2기가 이상 왠만하면 4기가 이상의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라즈베리파이에 사용할 수 없는 SD카드도 있는데 그 리스트는 http://elinux.org/RPi_SD_cards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그 외에 모니터에 연결할 RCA 영상선이나 HDMI선이 필요하고, 키보드, 마우스, 랜선 등이 필요하다. 아래는 기본 악세사리들을 연결한 라즈베리파이의 모습과 SD카드이다.

 

 

  마지막으로 라즈베리파이의 각 부위를 설명하고 다음 포스트에서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을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① RCA 영상단자 : TV에 라즈베리파이를 연결해서 볼때 쓸 수 있는 단자로 해상도가 낮다.

 ② 사운드 단자 : 3.5미리 스테레오 음성 단자. 스피커에 연결해서 소리를 출력한다.

 ③ USB 단자 : 2개의 USB포트가 있어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USB허브가 있으면 더 많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④ Ethernet LAN 단자 : 유선네트워크를 연결해서 인터넷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⑤ HDMI 단자 : HDMI 입력을 할 수 있는 모니터에 연결해서 고해상도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HDMI to VGA 젠더를 이용해서 HDMI 입력 단자가 없는 모니터에도 연결 할 수 있다.

 ⑥ 전원 단자 : 마이크로 5핀 단자로 전원을 넣을 수 있다.

 ⑦ SD 카드 : 라즈베리파이의 보조기억 장치로 운영체제를 깔아야 한다.

 ⑧ GPIO 핀 : 26개의 입출력 핀이 있어서 LED를 조정 한다던지 로봇 제어를 한다던지 여러 프로젝트에 쓰인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