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우연히 10원경매 사이트에(대부분의 10원경매 사이트가 비슷한 방법으로 운영되는 것 같아서 사이트를 특정하지는 않음) 처음으로 들어갔다. 처음 접해본 10원경매 사이트는 내 상상을 초월했다. 30만원이 넘는 가격의 렌즈형 카메라 DSC-QX10의 낙찰가가 3만원 선이고, 5만원이 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무선 마우스가 4~5천원 선에서 낙찰되었다. '어떻게 이런 가격이 가능할 수 있지?'라는 궁금증과 함께 의심이 들어서 이곳을 조금 들여다 보기로 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이미 2011년에 한번 논란이 있었다고 한다.)

 

  단돈 6만원에 아이패드 에어를 낙찰 받은 A의 예를 살펴보자. A는 실제로 얼마에 아이패드 에어를 산 것일까? 그리고 A는 얼마나 싸게 아이패드 에어를 산 것일까? 이 사이트에서 올려놓은 이 상품의 가격은 73만원이니 실제로 6만원에 샀다면 90퍼센트 이상 싸게 산 것이. 정말일까? 실제 A가 이 물건을 사기 위해 얼마를 썼는지 알기 위해 10원경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10원 경매는 상품을 10원부터 입찰에 붙여 10원씩 가격을 올려 입찰하도록 하는 방식의 경매다. 하지만 경매에 입찰하려면 500원짜리 입찰권을 사야하며, 낙찰에 실패해도 입찰권 구입비용을 반환받을 수 없다. 그리고 경매 종료 10초 안에 누군가 다른 사람이 입찰을 하면 다시 10초부터 카운트 다운을 한다. 그래서 대개의 경우 10초 전까지는 가격이 낮고 10초가 남았을 때 부터 진짜 경매가 시작된다. A는 이 경매에 총 350회 입찰했다. 따라서 입찰하는데 쓴 금액이 17만 5천원, 낙찰가 6만원으로 아이패드 에어를 사는데 총 23만 5천원이 들었다. 또한, 같은 기종 아이패드 에어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55만원 선에서 살 수 있다. 따라서 90퍼센트 이상 싸게 산 것이 아니라 40퍼센트 정도 싸게 산 것이다. 그렇다해도 거의 반 값으로 아이패드 에어를 구입 것이니 A는 수지 맞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A는 어떻게 이렇게 싸게 아이패드 에어를 살 수 있었던 것일까? A가 아이패드 에어를 싸게 구입 할 수 있었던 것은 그 과정에서 돈을 잃은 누군가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같이 경매에 입찰 했지만 낙찰받지 못한 사람들이다. 이 경매에 6천번의 입찰이 있었으므로 총 300만원이 입찰하는데 들어갔다. (이 사이트에서는 낙찰을 못 받은 사람들에게 보상을 주어서 다음 경매에 입찰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있는데 문제를 간편히 하기 위해서 이는 고려하지 않았다.) 다른 말로 하면 아이패드 에어 여섯대를 살 수 있는 돈으로 한 사람이 아이패드 에어 하나를 조금 싸게 산 것이다. 물론 그 차액은 사이트 운영자의 주머니 안으로 들어간다.

 

  그럼 이 사이트 운영자는 손해를 절대 보지 않을까? 그렇다. 단, 사람들이 계속 경매에 참여하는 한 말이다. 만약 사람들이 입찰을 하지 않아서 물건들이 몇백원 단위에서 입찰된다고 하면 적자는 감당할 수 없이 늘어날 것이다. 그래서 수익의 상당부분을 사이트 홍보비용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여기서 또 다른 의심이 싹튼다. 과연 사이트 운영자들이 손해를 보는 가운데서 사이트를 공정하게 운영을 할까?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부정은 알바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거짓 입찰을 유도하여 입찰건수를 늘리거나 자신이 낙찰 받는 것이다. 실제로 2011년에 이와 같은 불법이 행해진 사이트가 적발된 적도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에게 경매 낙찰자가 실제 이용자인지 아니면 알바나 프로그램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10원경매 사이트를 둘러보면 볼수록 경매 사이트가 아니라 도박 사이트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이용자들의 사행심과 경쟁심을 극대화 하여 운영자가 막대한 이득을 챙기고, 이용자들끼리 서로 등쳐 먹는다는 점에서 10원경매와 도박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경매에서 한 번 따고 판을 떠나지 않는 한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는 구조라는 점에서 도박과 판박이다. 그리고 10원 경매 사이트는 합리적 소비를 가장해서 도박의 길로 인도 한다는 점에서 도박 사이트보다 질이 더 나쁘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일확천금 노리지 말고 합리적 소비를 하라.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이전 글에서 밝혔듯, 방에서 무선 인터넷이 잘 되지 않아 유선으로 인터넷을 하게 만들었다. 그 후 노트북으로 인터넷 하는 것은 빠르고 끊기지 않아서 좋았지만 폰으로 인터넷을 할 때는 여전히 무선 신호가 약하고 인터넷이 느렸다. 그래서 고민하던 중 맥에서 핫스팟을 만들어 인터넷 공유할 수 있었던 것이 생각나서 윈도우에서는 비슷한 일을 할 수 있는지 찾아 보았다.

 

준비물

1. 유선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윈도우가 설치된 컴퓨터

2. 무선네트워크 카드

 

방법

1. 관리자 권한으로 'cmd.exe'를 연다.

2. 프롬프트에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allow “ssid=APName” “key=PasswordToConnect” keyUsage=persistent'를 입력한다. (ssid는 AP의 이름을 key는 접속할 때 필요한 암호이다.)

 

3.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인터넷 연결에 들어간다.

4. Microsoft Virtual Wifi Adapter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그 이름을 기억해 둔다. (위의 경우 Wireless Network Connection 2)

 

5. '로컬 영역 연결'의 속성에 들어가서 공유 탭을 클릭한다.

6.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을 통해 연결 할 수 있도록 허용'을 체크한다.

7. 홈네트워크 연결 밑의 리스트 박스에서 4번에서 알아두었던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8. 프롬프트로 돌아가서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를 입력한다.

 

(모든 과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AP에 연결 할 수 있어야 한다.)

 

 

9. AP를 끄려면, 프롬프트에 'netsh wlan stop hostednetwork'를 입력한다.

※ 처음 한번 위와 같이 설정하고 나서는 8번, 9번만으로 AP를 켜고 끌 수 있다. 이를 조금 더 편하게 하기 위해 배치파일 두개를 올려두었다. (Start Hotspot.bat Stop Hotspot.bat) 'Start Hotspot.bat' 파일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무선 공유기를 살 필요 없이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에는 두가지 큰 제약이 있다. 첫째, 호스트가 되는 컴퓨터가 켜져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속도가 빠르지 않다. 인터넷 연결이 좋을때 보통 65~150Mbps 까지 링크 속도가 나오는 반면, 위의 방법으로 했을때 필자의 컴퓨터로는 11Mbps를 넘지 못했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 신호가 약한 필자의 방에서 링크 속도가 5Mbps인 것을 고려할 때 11Mbps로 끊기지 않고 인터넷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이용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물론 몇 만원 주고 무선 공유기 하나 더 사서 쓰면 더 편하고 빠르게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겠지만, 호텔이나 숙소에서 인터넷 선 하나만 있는 경우 위의 방법으로 쉽게 무선 인터넷을 사용 할 수 있으니 참고해두면 좋을 것 같다.

 

 

 

참조

http://superuser.com/questions/580668/how-do-i-share-my-internet-connection-over-wi-fi-from-the-command-line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이번에 집에 와서 방에서 무선 인터넷을 하니까 계속 끊기고 속도도 느려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방에서 유선으로 인터넷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통신단자함을 사용해 본적은 없지만 기본적으로 선과 선을 연결해주는 것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기에 네트워크 연결하는 거야 어렵지 않겠다는 생각에 무작정 통신단자함을 열었다. 통신단자함은 요즘 지어지는 대부분의 집에 설치되어 선을 벽 뒤로 숨겨서 각 방을 쉽고 깔끔하게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예전처럼 지저분하게 네트워크 선을 몰딩 할 필요 없이 각 방에 이미 설치 된 통신 단자에 네트워크 선을 연결하고 통신단자함에서 연결만 하면 두개의 단자를 연결 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이 원텐(110) 블럭을 사용하는 통신단자함 내부 모습이다. 아래 사진에서 파란색 주황색 초록색 갈색 순으로 되어 있는 것이 110 블럭으로 색깔 양 옆으로 총 8개의 선이 하나의 블럭을 이룬다.

 

  쉽게 네트워크 연결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했던 것과 달리 처음 통신단자함을 열었을때 황당했다. 통신단자함에 어느 블럭이 어느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 표시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혹시 관리사무소에서는 알고 있을까 하는 마음에 전화를 해보았지만 장비를 가져와서 찍어봐야 하기 때문에 인터넷 설치 기사를 부르라고 했다. 어느 블럭이 어느 단자에 연결되는지만 알면 해결되는 것을 출장비를 줘가면서 기사를 부른다는게 내키지 않아서 고민하던 중 한가지 좋은 방법이 떠올랐다. 이 방법은 집 전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집 전화가 개통되어 있지 않는 집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준비물

1. 전화기 (유선전화기도 가능하지만 무선전화기가 효율적이다.)

 

방법

1. 우선 연결된 선 중에서 전화선을 찾는다. (전화선은 두선만 사용하고, 보통의 경우 각 방에서 다 전화기를 사용 할 수 있도록 연결을 해놓기 때문에 찾는것이 어렵지는 않다. 위의 사진에서 파란선과 하얀선이 꼬여 있는 선이 전화선이다.)

2. 전화기를 어느 블럭에 연결되어 있는지 알고 싶은 단자에 연결한다.

3. 통신단자함의 모든 블럭의 전화선 연결 하는 곳에 전화선을 연결한다.(전화선은 RJ45단자의[흔히 볼수 있는 랜선 머리] 다섯번째와 네번째를 사용한다. 즉, 흰색에 파란색 띠가 있는 선이랑 파란색 선이 전화선으로 사용된다.)

4. 전화기의 통화 버튼을 눌러서 신호가 가는 것을 확인 하고, 연결된 전화선을 신호가 끊어 질 때까지 연결된 선을 하나 하나 뽑는다.

5. 신호가 끊어 졌다면 직전에 뽑은 블럭이 전화기가 연결되어 있는 단자랑 연결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는 직전에 뽑은 블럭이 전화선이 집으로 들어오는 블럭일 경우이다. 그러므로 집으로 들어오는 전화선을 먼저 찾아두는 것이 낫다. 무선 전화기가 없으면 유선 전화기로도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선 하나 뽑고 전화기로 가서 확인 해야하므로 몇배로 힘이든다.)

 

  위의 방법대로 하면 어느 단자가 어느 블럭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내가 알고 싶은 단자 하나만 알아 내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한번 할 때 시간과 노력을 조금 더 들여서 통신단자함의 모든 블럭이 어느 방의 어느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지 배치도를 그려놓으면 나중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참고로 110 블럭이 불량이거나 약해서 조심히 다루지 않으면 고장이 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 두는 것이 좋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