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트에서 SSH를 통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SSH를 통해서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나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는데는 어려움이 없을 거라 본다. 하지만 알다시피 라즈베리파이에서는 Graphical Interface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도 많이 실행된다. 이런 프로그램들도 SSH를 통해서 실행 시킬수 있을까? 라즈비안 기본 웹브라우저인 midori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이번 포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1. SSH 통해서 무작정 midori 실행 시키기

  그냥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고 프롬프트에 midori를 입력해서 실행시켜보았다. 결과는 실패!! 에러 메시지가 떴다.

 

2. Xming 설치 및 실행

  SSH를 통해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X11 터널링이라는 기술이 필요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는 Xming 이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서 그래피컬하게 표시해줘야 할 정보들을 X11 터널을 통해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가져오고 그걸 Xming이 받아서 화면에 표시해주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여기]에서 받을 수 있다. 설치 후 실행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Xming 아이콘이 시스템 트레이에 표시된다.

 

 

3. 프로필 수정 (X11 Tunneling)

  Xming만 실행되고 있다고 해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없다. 지난 포스트에서 프로필을 생성했었는데 그 프로필을 수정해야한다. 지난 포스트에서 했던것 처럼 프로필 수정하기에 들어가서 원하는 프로필을 왼쪽 창에서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프로필 수정 창이 뜨면 Tunneling 탭을 선택해서 Tunnel X11 connections의 체크박스를 설정한다. 프로필 수정 후 재접속을 하면 X11 터널링을 통해서 GUI 프로그램들을 실행 시킬 수 있다.

 

 

4. midori 실행

  1번에서 midori를 실행 시켰던 방법대로 midori를 실행 시킨다. 위의 과정을 무사히 다 마쳤다면 아래와 같이 midori의 실행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5. Graphical Desktop(LXDE) 실행하기

  그렇다면 LXDE도 실행 할 수 있을까? 그렇다. 하지만 라즈베리파이에서 LXDE를 실행하는 명령어인 'startx'를 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 메시지가 뜬다.

 

 

  LXDE를 SSH를 통해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lxsession'이라고 입력해야 한다. 그러면 아래 처럼 LXDE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포스트에는 라즈비안에 자동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라즈베리파이에는 기본적으로 SSH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즉, 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SSH가 무엇인가 잘 모르는 분을 위해 한마디로 설명하면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해서 커맨드 라인 명령을 보내서 작업하는걸 도와주는 프로토콜이다. 즉, Telnet과 같은 기능을 보안성을 높여서 하는 프로토콜이라고 이해하면 될거 같다.

 

1. IP주소 알기

  SSH를 통해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접속하는 컴퓨터가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네트워크에 묶여 있던지 라즈베리파이에 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알아야 접속할 수 있다. 라즈비안에서 (리눅스 베이스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IP 주소를 알기 위해서는 'ifconfig'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표시되는데 밑줄 그은 부분이 바로 IP 주소다.

 

 

2. 정적 IP 설정

  이 부분은 네트워크를 전혀 모르는 사용자라면 건너뛰기를 추천한다. 라즈비안 기본설정으로 IP주소 설정은 DHCP를 통해서 하게 되었다. DHCP는 동적으로 IP를 할당해주는 방식으로 다음번에 접속 할 때는 IP가 변경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구성이 많이 변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같은 IP로 할당이 계속 된다. 만약 IP가 변경되는 것이 싫은 경우에는 정적 IP를 받으면 되는데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프롬프트에서 'sudo nano /etc/network/interfaces'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그런 후 'nano' 에디터에서 'iface eth0 inet dhcp'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아래처럼 앞에 #을 붙여서 주석처리 하고 아래와 같이 address, netmask, gateway, network, broadcast를 바꾸면 된다. 하지만 아무 값으로나 바꾸면 안되고 네트워크에 맞게 설정해야 하는데 무슨 값을 넣어야할지 모르겠다면 그냥 DHCP로 IP 할당받아 사용하기를 권한다. 잘 모르겠지만 꼭 정적 IP를 할당 받고 싶다 하는 사람을 위해 작은 팁을 주자면, 앞에 ifconfig로 알아낸 정보를 이용하라는 것이다. 즉, inet-addr 값을 address의 값으로, Bcast의 값을 broadcast의 값으로,  Mask 값은 netmask 값으로 쓰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gateway는 address의 마지막 부분을 1로 변경하고 network는 address의 마지막 부분을 0으로 설정 해주면 왠만하면 될것이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네트워크 개념이 없는 사람은 하지 않는 것이 낫다. ※네트워크 설정은 재부팅 할때 변경된다는 사실 또한 참고.

 

 

3. SSH 클라이언트 설치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아주 다양하다. Putty와 OpenSSH도 널리 쓰이는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필자는 SSH Secure Shell을 더 선호한다. SSH Secure Shell은 [여기]서 다운 받을 수 있다.

 

4. SSH Secure Shell로 접속하기

  SSH Secure Shell을 성공적으로 설치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 된다. Profiles 아이콘을 누르고 Add Profiles 버튼누르면 Add Profile 창이 뜨고,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 뒤 엔터를 누르면 프로필이 생성된다.

 

 

 

  다시 Profiles 아이콘을 클릭한 후 Edit Profiles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프로필을 수정 할 수 있는 창이 나온다. 전에 생성한 프로필을 왼쪽 창에서 찾아서 클릭 한 후 Host name에 1번에서 알아낸 IP 주소를 적고, User name은 pi로 설정한 후, OK버튼을 누르면 프로필이 수정된다.

 

 

5. SSH Secure Shell로 라즈베리파이 접속하기

  위의 과정을 모두 마쳤다면 Profiles 아이콘을 누르면 좀전에 생성한 프로필 버튼이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 그 버튼을 클릭하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이 되면서 비밀번호를 넣으라는 창이 뜬다.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로그인 되었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끝! 

 

 

 

  다음 포스트에서는 SSH를 통해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컴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윈도우즈, 맥OS, 안드로이드, 리눅스 등이 잘 알려진 운영체제 이다. 라즈베리파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라즈베리파이용으로 배포되고 있는 운영체제로 라즈비안, 피도라, OPENELEC, RASPBMC, RISC OS 등이 있다. OPENELEC와 RASPBMC는 라즈베리파이 XBMC 전용 운영체제이다. 미디어 센터로만 사용하고자 한다면 이 두가지 운영체제 중에 골라서 설치하는 것이 낫다. 하지만 그 외의 용도로도 사용하려면 라즈비안이나 피도라를 선택해야한다. 필자는 라즈비안을 설치하기로 했다.

 

1. SD카드에 라즈비안 이미지 굽기

※이 글에서는 윈도우즈에서 라즈베리파이 이미지를 SD카드에 굽는 것을 설명하지만 맥의 경우는 [여기]를 참조하여 굽기만 하면 아래의 모든 과정은 동일하다.

  라즈베리파이 공식 사이트의 다운로드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뜨는데 여기서 Download Zip을 눌러서 라즈비안 이미지를 다운 받으면 된다.

 

 

  Win32 Disk Imager라는 프로그램을 [여기]에서 다운 받아서 설치한다.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뜨고 Image File에 위에서 다운받은 라즈비안 이미지를 선택하고 Device에 굽고자 하는 SD카드의 드라이브를 선택한다. 그 후, Write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뜨면 확인을 누르고 완성되기를 기다린다.

 

 

 

 

2. 기본 설정 하기

  1의 과정을 무사히 마쳤다면 구워진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장착하고 전원을 켜서 라즈베리파이를 시작한다. 혹시나 해서 말이지만 라즈베리파이에는 전원버튼이 없다. 전원 플러그를 꼽는 순간 부팅이 시작된다. 모니터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1단계는 성공한 것이다.

 

 

  처음으로 부팅을 하게 되면 라즈베리파이의 기본 설정을 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 된다. 여기서 1,2,3번만 기본적으로 필요하므로 세가지만 설명 하도록 한다. 후에 세팅을 바꿔야 할 경우가 생기면 라즈비안의 쉘(윈도우의 커맨드라인 같은것) 에서 'sudo raspi-config'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2-1. Expand Filesystem

  이것은 SD카드의 모든 공간을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아래 두 사진을 비교하면 위의 것은 확장하기 전이고 아래의 것은 확장한 후이다. 하는 것은 매우 쉽다. 1번에 커서를 위치 시키고 엔터만 누르면 끝!

※확장 후에 5배 이상 넓은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것은 SD카드의 용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변경 사항은 재부팅 후에 확인 할 수 있다는 점도 참고.

 

 

2-2 Change User Password

  사용자 비밀번호를 바꾸는 부분인데 바꾸지 않아도 되지만 바꾸는 것이 보안상 더 나은 선택일 것이다. 처음 사용자 아이디는 'pi'이고 비밀번호는 'raspberry'이다. 2번에 커서를 놓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표시되고 새 비밀번호를 두번 입력하면 끝!

 

 

2-3. Enable Boot to Desktop/Scratch

  부팅 옵션을 선택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3번에 커서를 놓고 엔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세가지 옵션중에 선택해서 엔터를 누르면 끝! 1번은 Text Console 즉, DOS와 같은 환경으로 부팅이 된다. 2번은 Graphical Desktop, 즉 윈도우즈와 같은 환경으로 부팅이 된다. 마지막으로 3번 Scratch라는 것은 아이들에게 쉽게 프로그래밍을 가르쳐 주는 프로그램 같은데 관심 있다면 해보시길.

※사용 목적에 따라 1,2,3번 중에 아무거나 선택해도 되지만 필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XBMC이므로 1번 Text Console을 선택하였다.

 

 

  오버 클럭 등 다른 옵션들도 있지만 기본 세팅에는 크게 상관 없으므로 패스. 이제 기본 세팅이 다 되었으면 Graphical Desktop에 들어가보도록 하자. raspi-config 창에서 오른쪽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Finish에 커서가 가고, 그때 엔터를 누르던지, ESC키를 두번 누르면 창이 종료 되고 프롬프트 창이 나온다. 거기서 'startx'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Graphical Desktop이 표시된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SSH를 통한 라즈베리파이 접속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