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트에서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는 것을 알아 보았다. 좋아하는 미국 TV쇼 중 하나인 빅뱅이론을 플레이 했다. 동영상은 끊기지 않고 재생되었지만 아래 사진과 같이 자막이 클링온어 같이 알아 볼 수 없는 문자들로 표시 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아래의 순서대로 하나씩 따라하면 쉽게 한국어로 설정 할 수 있다.

 

① System 메뉴에 Settings를 클릭한다.  

 

② Appearance를 클릭한다.

 

③ Skin탭에서 Fonts를 삼각형 위/아래 버튼을 눌러 Arial based로 바꾼다.

 

④ International 탭에서 Language를 삼각형 위아래 버튼을 눌러서 Korean으로 바꾼다. 바꾼 뒤 조금 시간이 흐르면 언어가 한국어로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만약 아래와 같이 글자가 하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면 3번 과정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므로 언어를 다시 영어로 바꾸고 3번 과정부터 다시 해야한다.

 

  위의 과정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모든 메뉴가 한글로 바뀌고 자막도 깨지지 않고 잘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비디오 플레이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한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이번에 라즈베리파이를 구입한 가장 기본적인 목적이에 DIVX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센터를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는 것을 알아본다.

 

  라즈베리파이에 XBMC를 설치하는 것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OPENELEC나 RASPBMC와 같이 XBMC 전용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라즈비안과 같은 범용 운영체제에 XBMC를 설치 하는 것이다. 전용 운영체제를 쓰는데 장점은 XBMC만 돌리기 때문에 XBMC를 최적의 환경에서 실행 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그외의 작업을 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반대로 범용 운영체제를 쓰는데 장점은 라즈베리파이를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아무래도 조금 느릴 수 있다는 점이다. 라즈베리파이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하면 저가형 DIVX 플레이어를 사는것이 가격면에서나 성능면에서 더 나은 선택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범용 운영체제를 설치해서 XBMC를 실행시켜보고 성능이 많이 떨어지면 전용 운영체제를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해서 사용해본 결과는 대만족. 성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말끔히 씻어 줄 정도로 아주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이만해서 잡설은 집어치우고 라즈비안에 XBMC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sudo nano /etc/apt/sources.list.d/mene.list'

  'deb http://archive.mene.za.net/raspbian wheezy contrib'를 추가.
'sudo apt-key adv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recv-key 5243CDED'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xbmc'
'sudo nano /etc/udev/rules.d/99-input.rules'
   SUBSYSTEM=="input", GROUP="input", MODE="0660"
   KERNEL=="tty[0-9]*", GROUP="tty", MODE="0660"를 추가.

 

  위의 순서대로 모든 과정을 마치면 XBMC를 실행 시킬 수 있다. XBMC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프롬프트에 'xbmc-standalone'을 입력하면 된다. 이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설치가 성공적으로 된 것이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XBMC에서 한글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XBMC 세팅을 시작하기 전에 부팅시 XBMC 자동 실행, 부팅시 XBMC sudo로 자동 실행 두개를 먼저 읽고 설정한 후에 세팅 시작하기를 추천한다.

 

 

참조 : Michael Gorven's Blog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넣고 부팅이 되기를 기다리면 로그인 하라는 화면이 아래 사진과 같이 나타난다. 보안상의 이유로 비밀번호를 묻는 것은 당연하지만 사용 목적이 다음 포스트에서 알아보게될 XBMC의 사용에 있다면 여간 성가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을 자동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한다.

 

 

  터미널에서 'sudo nano /etc/inittab' 라고 입력한다. /etc/inittab 파일은 부팅시 초기화 과정을 제어하는 파일이다. 밑으로 내려서 '1:2345:respawn:/sbin/getty --noclear 38400 tty1' 부분을 찾아서 앞에 #을 붙여서 주석 처리 하고, '1:2345:respawn:/bin/login -f pi tty1 </dev/tty1 >/dev/tty1 2>&1'를 그 밑에 추가한뒤 저장하면 끝! 이제 재부팅하면 로그인 과정을 건너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포스트부터는 XBMC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출처 : http://elinux.org/RPi_Debian_Auto_Login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