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트에서 알아봤듯이 유튜브 추가기능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비디오가 정상으로 플레이가 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유튜브 추가기능에 문제가 있는가 했지만 유튜브 뿐만 아니라 비디오 팟캐스트도 같은 문제가 있었다. 다음으로 코덱 문제인가 하는 의심을 했지만 팟캐스트를 다운 받아서 파일 재생을 하면 제대로 나오는 것을 봐서는 코덱 문제도 아닌 것 같았다. 몇일을 찾던 중 Stack Exchange - Raspberry Pi Community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1. 라즈베리파이 펌웨어 업데이트

  콘솔에서 'sudo apt-get install rpi-update'를 입력하면 스스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한다.

 

2. GPU 메모리 크기 키우기

  정확하게는 원인은 모르겠지만 GPU 메모리 크기와 관련이 있었던 것 같다. 아래와 같이 /boot/config.txt 파일을 열어서 gpu_mem=128을 추가하거나 수정한다.

 

  이제 이전 포스트에서 처럼 유튜브 동영상을 재생하면 아래와 같이 비디오가 재생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으로 보성이 형님과의 의리를 지켰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쉽게 유튜브 비디오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이것으로 이번 포스트는 마무으리~~

 

참조 : Stack Exchange - Raspberry Pi Community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몇일 전부터 XBMC를 이용해서 유튜브 동영상을 보는 것을 하려고 했는데 문제가 있었다. 무엇이 원인인지도 알 수 가 없는 상태에서 검색을 해도 답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비안 XBMC에 유튜브 추가기능(Adds-On)을 설치하는 방법과 재생시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1. XBMC 추가기능(Adds-On) 설치

  XBMC에는 여러 종류의 추가기능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추가기능을 설치하는 방법은 모든 추가기능에 동일하므로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유튜브 추가기능을 설치 하는 것으로 설명을 하자.

 

① 비디오-추가기능 선택

 

② 더 가져오기를 선택해서 YouTube를 찾아 클릭 후 설치

 

 

 

③ 비디오-추가기능에 보면 YouTube가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 유튜브 추가기능 설정하기

  처음 유튜브 추가기능을 실행하게 되면 설정화면이 뜬다. 이때 유튜브 계정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신이 업로드 비디오나 최근에 봤던 비디오 좋아하는 비디오 등을 쉽게 볼 수 있다. 설정 변경을 원하면 플러그인 설정 변경을 눌러서 변경 할 수 있다. 

 

①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② XBMC에서 유튜브 동영상을 검색해서 볼 수도 있지만 꽤 느려서 추천하지는 않는다. 유튜브 비디오를 쉽게 재생하는 방법은 다음 포스트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③ 리스트에 있는 동영상을 클릭하면 재생된다.

 

※ 하지만 비디오는 나오지 않고 소리만 재생이 되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

  지난 포스트에서 bash 스크립트 코드를 올리다 보니 어떤 블로그에는 아주 보기 좋게 소스코드가 올라오더라 싶어서 어떻게 그렇게 하는지 알아보았다. 같은 기능을 해주는 프로그램들이 꽤 있었는데 필자가 찾은 것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은 SyntaxHighlighter라는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는 SyntaxHighlighter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을 알아보기로 하자.

 

1. SyntaxHighlighter 다운받아서 홈페이지에 올리기

  SyntaxHighlighter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받는다. 압축된 파일을 받게 되는데 받아서 scripts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styles 디렉토리 안에 있는 shCore.css, shCoreXXX, shThemeXXX를 티스토리에 올린다. 여기서 XXX는 스킨 이름으로 Eclipse, Emacs, Midnight 등이 있다.

 

 

 

 

2. 스킨편집하기

  skin.html 파일의 head 부분에

<link href="./images/shCore.css" rel="stylesheet" type="text/css" />
<link href="./images/shThemeEclipse.css" rel="stylesheet" type="text/css" />
 

 

를 추가한다.

skin.html 파일의 body 부분에

<script src="./images/shCore.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Autoloader.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AppleScript.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AS3.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Bash.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ColdFusion.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Cpp.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CSharp.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Css.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Delphi.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Diff.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Erlang.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Groovy.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Java.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JavaFX.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JScript.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ObjC.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Perl.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Php.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Plain.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PowerShell.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Python.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Ruby.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Sass.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Scala.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Sql.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Vb.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BrushXml.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images/shLegacy.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yntaxHighlighter.all();
</script> 

를 추가하면 스킨 변경 끝!

 

3. SyntaxHighlighter 사용하기

  우선 SyntaxHighlighter 사용하기 위해서는 html 편집모드로 추가해야 한다. SyntaxHighlighter를 사용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pre />와 <script />이다. 둘다 티스토리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방법 또한 대동소이 하지만 각 장단점이 있다.

 

① <pre/> 사용하기

  rss에도 표준 <pre />태그로 표시된다는 점과 티스토리 글쓰기 화면에도 그대로 표시된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를 &lt로 변경해서 올려야 한다는 점이 단점이다. 아래는 <pre>를 사용한 예이다. <pre class="brush: 브러시 이름"></pre> 사이에 코드를 넣으면 된다. 브러시 이름을 알아내는 방법은 마지막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counter <= 10'이 'counter &lt;= 10' 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PRE class="brush: js">  /**
   * SyntaxHighlighter
   */
  function foo()
  {
      if (counter &lt;= 10)
          return;
      // it works!
  }
</PRE>

  /**
   * SyntaxHighlighter
   */
  function foo()
  {
      if (counter <= 10)
          return;
      // it works!
  }

 

② <script /> 사용하기

  '<'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소스코드의 복사 붙여넣기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pre>와 달리 티스토리 글쓰기 화면에서 보이지 않는다. HTML로 보기나 미리보기를 해야만 확인 할 수 있다. 어디에 표시되는지 글쓰기 화면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황당하게 편집 될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단점은 코드안에 </script>가 있을 경우, 많은 웹 브라우저가 제대로 표현을 못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rss리더가 <script>부분을 읽지 않기 때문에 블로그에 올리는데는 <pre>가 더 적합 할 수도 있다. 

 

  <script>를 사용할 때는 <SCRIPT class="brush: js" type=syntaxhighlighter><![CDATA[]]></SCRIPT> 사이에 코드를 넣으면 된다.

<SCRIPT class="brush: js" type=syntaxhighlighter><![CDATA[
  /**
   * SyntaxHighlighter
   */
  function foo()
  {
      if (counter <= 10)
          return;
      // it works!
  }
]]></SCRIPT> 

※ 브러시 이름 알기

  SyntaxHighlighter는 c++, c#, css, java, Php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사용할때 언어를 지정하기 위해 브러시 이름을 알아야 하는데, 이는 shBrushXXX.js 파일을 열어보면 알 수 있다. 다음은 shBrushBash의 일부분인데 bash와 shell이 브러시 이름인 것을 알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작은 조약돌

공돌이 형과 글쟁이 동생 쌍둥이 형제의 낙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