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은 전자회로 구성의 필수요소라 불릴만큼 특수한 경우 외에는 거의 항상 쓰이는 소자이다. 저항의 목적은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데 있는데 누구나 한번씩은 들었을 법한 유명한 공식 V=IR에 의하면 전압이 같을 때 저항이 커지면 전류가 적게 흐르고, 저항이 작아지면 전류가 많이 흐른다. 저항을 사게되면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저항값을 적어놓고 쓰기 때문에 저항값을 따로 읽을 필요가 없을 때가 많으나 종종 저항값을 읽어야 할 때가 있다. 테스터기가 있다면 테스터기를 이용하면 쉽게 저항 값을 읽을 수 있지만 없더라도 아래의 저항값 표만 있다면 읽을 수 있다.
저항값 표로 저항을 읽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저항을 보면 색깔 띠가 있는데 3색 부터 6색 저항 까지 있는데 기본적으로 저항을 읽는 방법은 큰 차이가 없으므로 4색 저항을 읽는 법으로 설명을 하자. 4색 저항의 경우 처음 두 색은 수치, 세번째 색은 승수 네번째 색은 정밀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위 사진 오른쪽 저항은 갈-빨-갈-금 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를 아래의 표를 참조해서 읽어보면 이 된다. 그리고 네번째 색이 금색이므로 ±5%의 정밀도를 갖는다. 참고로 5색저항은 앞의 세 색이 수치, 네번째 색이 승수 그리고 다섯번째 색이 정밀도를 나타내고, 6색저항은 5색저항과 같고 여섯번째가 온도 계수를 나타낸다.
위에서 알아 본 바와 같이 표만 있으면 저항값을 읽는것이 어렵지 않다. 하지만 요즘 처럼 다들 스마트폰을 들고다니는 때에 스마트 폰 앱 하나면 쉽게 저항값을 읽을 수 있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저항 읽기로 검색하면 많은 앱이 나오는데 그 중 가장 상위에 있는 저항 계산기를 사용해 봤다. 사용법은 설명할 것이 없을 정도로 간단하다. 띠를 클릭하면 색이 바뀌고 그에 따른 저항 값이 바로바로 계산되어 위에 표시된다.
'Raspberry Pi > 라즈베리파이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중급] (6) WiringPi 설치 & 깜빡이는 LED (0) | 2014.08.17 |
---|---|
[라즈베리파이 중급] (5) LED 불 켜기 (0) | 2014.08.04 |
[라즈베리파이 중급] (3) NS-GPIO (0) | 2014.08.01 |
[라즈베리파이 중급] (2) 라즈베리파이 GPIO 소개 (0) | 2014.07.04 |
[라즈베리파이 중급] (1) 라즈베리파이에 리셋 버튼 달기 (0) | 2014.07.03 |